사량도에서 꿀맛 같은 휴식을 취하고 있던 조선 수군에게 당포 부근에 상당수의 적선이 정박해 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당시 속도로는 사량도에서 당포까지 노를 저어 2시간이 넘게 걸리는 거리지만, 지금의 쾌속선 속도로는 20분이면 당도하는 거리였다. 전군 출정 명력이 내려졌고, 보고받기를 당포에 21척의 적선이 정박해 있다는 것이다. 이순신은 당포로 한방에 직접 치고 들어가지 않았다. 혹시 모를 공격에 대비해 위험 요소를 면밀히 파악하고 철저히 대비하였다. 당포에서는 사천에서와는 다르게 수심이 깊고 암초가 거의 없기에 육중한 판옥선이 움직이기 최상의 조건이었다. 상당수의 일본 병력은 육지로 출격하여 노략질을 일삼고 있는 상황에서 조선 수군이 접근하는데도 미동도 없이 물끄러미 바라만 보고 있었다. 거북선이 다가와도 조총만 쏠뿐이었다. 물론 조총에도 아무런 반응이 없는 거북선에 놀라는 순간 안택선의 옆구리를 들이받고 있었다.
일본은 조선과는 다르게 봉건제 사회엿고, 군대는 영주와 같은 고향 사람들로 구성되었다. 자신의 주인인 영주, 즉 다이묘가 죽으면 그 다이묘만을 믿고 참전한 왜군들은 중심을 잃고 우왕좌왕할 수밖에 없었다. 일본군은 다이묘가 죽으면 전장에서 고아가 된 것이나 다름없다. 당포 해전의 상황이 그러했다. 적장이 죽자 일본군은 더 이상 싸울 의지를 잃어버렸다. 울부짖으며 도망가기에 정신이 없었다. 이순신은 잠시 고민했다. 육지로 따라가서 패잔병을 섬멸할 것인가? 그러나 백병전에 뛰어난 일본의 패잔병들이 살기 위해 발악했을 때 우리 군이 받을 피해를 생각하면, 쉽사리 결정하지 못했을 사안이었다. 마침 후방에서 일본 함대들이 움직이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왔고, 새로운 적을 향해 뱃머리를 돌렸다. 당시로는 현대의 미사일이나 다름이 없는 장거리 함포들과 신기전 등의 미사일, 그리고 거북선까지 보았으니 일본군은 심히 당황했을 것이다. 당시 동북아 바다는 물론 동남아까지 거리낌 없이 항해를 하고 다니며, 약탈을 일삼는 등 해전에 대해 자부심이 넘쳤던 일본 수군들의 충격은 상당했다.
전라우수영 이억기와 전라좌수영 이순신, 경상우수영 원균이 모여 연합 함대가 구축되었다. 총 사령관은 이순신으로 추대했다. 거제도의 주민들이 찾아와 일본 수군의 향방을 알렸다. 머뭇거릴 새도 없이 이순신이 이끄는 연합 함대는 당항포 앞까지 진격했다. 당항포는 지형이 특수한 곳이다. 마치 강줄기 같은 모습으로, 넓은 곳의 폭은 1.8km고, 아주 좁은 곳은 200~300m 밖에 되지 않았다. 이 좁은 당항포에 조선의 연합 함대 전체를 들여보낼 수는 없었다. 뱀처럼 장사진을 전개하면서 이동하였다. 그러면서도 철통 같은 경계와 수비를 당부했다. 고민을 하던 이순신은 유인 작전을 선택했다. 일본군은 좁은 포구를 나가고 싶은 마음이 급했기에 이순신의 유인 작전에 말려들 수밖에 없었다. 일본 함대는 조선 수군을 쫓아 나오며 당항포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는 희망에 부풀어 있었다. 매복한 이억기의 함대를 눈치채지 못했고, 조선 함대가 나타나 징소리와 때를 맞추어 장사진으로 후퇴하던 조선군이 일자진을 친 채로 일본군을 맞이했다. 조선 수군의 학익진이 형성되었고, 앞쪽과 뒤쪽에 양쪽으로 쌍학익진이 형성되었다. 쌍학익진과 일시집중타에 의해 일본의 모든 전함들은 깨지고 구멍이 뚫리며 불탔고, 서서히 가라앉기 시작하였다. 당항포에서는 26척의 일본 함대 중 25척이 격침되었다. 이순신의 연합 함대는 유유히 당항포를 빠져나왔고, 살아남은 1척이 분명 빠져나갈 것이니, 섬멸하라는 이순신의 명령이 있었다. 26척의 일본군의 전함을 모두 격침하였고, 2700여 명의 일본군들을 사살하였다.
작전이면 작전, 병사들의 사기 진작, 휴식 보장 등 여러 면모에서의 완벽한 리더십은 정말 존경받아 마땅하다. 이순신이 없었다면을 생각하면, 현재의 대한민국도 없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고 생각한다. 책을 읽으며 감사하고 존경의 마음으로 감격의 눈물이 난 적은 처음인 것 같다.
'나의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산도대첩 (0) | 2024.07.18 |
---|---|
율포해전 (0) | 2024.07.17 |
사천해전 (2) | 2024.07.14 |
합포해전과 적진포해전 (0) | 2024.07.12 |
조선의 화포 / 임진왜란의 발발 (0) | 2024.07.12 |